5-2. 에이전트 관리
에이전트 목록 및 상세 페이지
등록된 에이전트 목록을 조회하고, 각 에이전트의 상태 확인 및 연동 관리를 할 수 있습니다.
① 상단 메뉴에서 에이전트
탭을 선택하면, 등록된 에이전트들이 카드 형태로 표시된 목록 페이지로 이동합니다. 각 카드에는 에이전트의 상태 정보가 시각적으로 제공되어, 한눈에 파악할 수 있습니다.

② 에이전트 카드를 클릭하면 해당 에이전트의 상세 페이지로 진입하며, 정보는 Overview
탭과 Serve
탭으로 구분되어 제공됩니다.
-
Overview 탭: 에이전트의 CPU, Memory, GPU 사용률 등 자원 사용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
에이전트 현황 페이지 정보
- IP : Node의 네트워크 주소. agent와 통신할 때 이 주소를 통해 접근함
- Node : 클러스터에 연결된 하나의 물리 또는 가상 머신(서버)
- Memory : 해당 Node에 장착된 시스템 메모리(RAM)의 용량 및 사용량
- CPU : CPU 사용률(%)
- Disk : Node의 디스크 저장공간(HDD/SSD) 사용량
- GPUs : Node에 장착된 GPU카드의 목록. 여기에 더 자세한 GPU정보가 포함됨
- Host name : 해당 Node의 컴퓨터 이름. 클러스터 내에서 구분을 위해 사용됨
- Utilization : GPU연산 유휴율(%). 높은 숫자일수록 GPU가 활발히 작업중이라는 의미.(0%→대기상태)
-
Serve 탭: 해당 에이전트에서 구동 중인 어플리케이션(예: 스마트툴, AI 추론 등) 목록이 표시되며, 각 어플리케이션별로 할당된 CPU/GPU 자원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 각 항목 우측의
…
버튼을 클릭하면,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README 문서를 확인하거나 어플리케이션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.
Serve 어플리케이션이란 ?
에이전트 내에서 실행되는 개별적인 기능 단위로, AI 모델 추론 서버, 스마트 툴, 데이터 전처리 플러그인등이 있어요. 에이전트 안에 여러 개의 어플리케이션이 동시에 구동될 수 있어요.
③ 에이전트 상세 페이지 상단, 에이전트 이름 옆 …
버튼을 클릭하면, 해당 에이전트를 삭제할 수 있습니다.

에이전트 / 플러그인 / Serve 어플리케이션 개념 정의
에이전트
→ Synapse와 연결된 서버로 학습, 추론, 전처리 등 실제 작업이 실행되는 공간
플러그인
→ 어떤 기능을 실행할 수 있게 만든 코드 묶음(예: 이미지 자동 라벨링, 전처리, 모델 학습 등)
Serve 어플리케이션
→ 특정 플러그인을 실제로 실행 가능하게 만든 프로그램
플러그인은 기능 코드 묶음, 어플리케이션은 이 기능을 실행하는 소프트웨어 인스턴스, 에이전트는 그걸 실행시켜주는 컴퓨터입니다.
어플리케이션은 왜 따로 관리하나요 ?
어플리케이션은 실행될 때 GPU나 CPU 같은 시스템 자원을 많이 사용합니다.
그래서 동시에 여러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시스템이 느려지거나, 다른 작업에 영향을 줄 수 있어요.이런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, 자원 사용량이 많거나 더 이상 필요하지 않은 어플리케이션은 언제든지 정지하거나 삭제할 수 있어야 합니다.
Updated 16 days ago